지난달 FOMC(연방공개시장위원회) 의사록과 엇갈린 고용지표 등을 소화한 가운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의 관세 정책이 경제에 미칠 영향을 주목하며 혼조세를 보였다.
전일(1/8) 美 증시 조정력에 국내증시도 시초에 약세를 보였다가 오후장에 상승을 보이면서 KOSPI 2,521.05(+1.16%), KOSDAQ 719.63(+0.19%)으로 상승 마감했다. 금일 시장도 뉴욕증시가 부진한 모습을 보였기 때문에 동반 부진이 예상되나 전일 상승에 추가적인 상승 가능성도 있기 때문에 보합적 국면도 염두해야 한다.
코스피 투자주체 일자별추이 대금 [출처 신한아이HTS]
오랜만에 코스피에서 외국인 순매수가 4일 연속 유입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기조가 지속된다면 뉴욕증시가 부진해도 국내증시는 양호한 반등 국면을 지속해 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코스피 코스닥 일봉차트 [출처 신한아이HTS] 왼쪽 코스피 / 오른쪽 코스닥
기술적으로 코스피는 2495선의 지지를 받고 2538선으로 달려가는 중이고 코스닥은 707을 돌파하며 726선까지 반등을 이어가는 중이다. 아직까지는 증시가 강한 상승력을 지속 만들어 갈 수 없으니 일정 구간에서 이슈에 따른 등락이 지속 될 것으로 보인다. 전일 상승 이슈는 아래와 같다.
젠슨 황 CEO, 삼성전자 HBM 긍정적 발언 및 엔비디아 차세대 GPU GDDR7 공급사 삼성전자·SK하이닉스 배제 논란 완화 등에 반도체 대표주(생산), 반도체 장비, 반도체 재료/부품, 시스템반도체, HBM, 온디바이스 AI 등 반도체 관련 테마 상승.
▷트럼프, 조선 협력 발언 모멘텀 지속 및 전방위적 수혜 기대감 등에 조선/ 조선기자재 테마 상승.
▷인간 메타뉴모바이러스’(HMPV) 글로벌 확산 및 국내 독감 유행 소식 등에 코로나19, 마이코플라스마 폐렴, 제약업체, 의료기기, 마스크 등 테마 상승.
▷CES 2025 액침냉각 기술 주목 속 냉각시스템(액침냉각 등) 테마 상승.
▷AI 반도체 수요 확대 수혜 및 CES 2025 기대감 지속 등에 유리 기판 테마 상승.
▷현대차그룹, 美 친환경차 비중 사상 첫 20% 돌파 모멘텀 지속, LG에너지솔루션(+2.19) 올해 점진적 실적 개선 전망 속 전기차, 2차전지 테마 상승. 자동차 대표주, 자동차부품, 리튬, 폐배터리 등의 테마도 상승.
▷프랑스서 엠폭스 변종 첫 감염자 발생 소식 속 엠폭스(원숭이두창) 상승.
1/8(수) 장 마감 후 시간외 거래에서는 인간 메타뉴모바이러스(HMPV) 글로벌 확산 및 독감, 코로나19 등 전염병 확산 속 GH신소재, 우정바이오, 대웅, 대웅제약, 수젠텍 등 백신/진단시약/방역, 코로나19 등의 테마가 상승했고, 젠슨 황 엔비디아 CEO, 삼성전자 HBM 긍정적 발언 및 엔비디아 차세대 GPU GDDR7 공급사 삼성전자·SK하이닉스 배제 논란 완화 등에 에이팩트, 엑시콘, 이녹스첨단소재 등 반도체 관련주들이 정규장에 이어 상승했다. 거래량 상위 종목으로는 랩지노믹스, 에스와이스틸텍, 범양건영, 휴마시스, 수젠텍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