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12일 장전시황
관세, 파월 금리 유지 발언에도 애플 강세에 혼조
확대되는 관세 발표는 부담으로 작용
전일 모든 철강 제품에 대해 관세 부과 발표
품목별 미국 수입 비중. 철강 17%, 알루미늄 82%
실질적으로는 중국이 대상이라는 평가도
EU는 미국 관세에 비례해 대응할 것이라고
다만 실제 관세 부과에 대해서는 여전히 부정적 평가
미국이 수입하는 이유는 인건비 + 에너지 비용 저렴
캐나다 같은 저렴한 제품이 인플레 측면에서 유리
이번 역시 결국 다른 것 양보 받으며 타결로 갈 듯
Bannockburn. 협상 과정이라는 점 투자자들이 잘 알아
웰스파고. 관세 불구 감세 등 정책이 증시 상승 이끌어
반면 관세 국면 자체가 증시에는 부담이라는 주장도
골드만삭스. 관세 변수 자주 등장해 증시 어려울 듯
파월. 인플레 2%위, 강한 경제 감안 인하 서두를 필요 없어
트럼프의 관세 정책에 대해서는 연준의 업무 아니라고
다만 자유무역이 논리상 맞다고 생각한다 언급
전체적으로 FOMC 때 언급한 수위로 보임
베스 해맥. 트럼프 정책 여파 분석에 시간 필요
당분간 금리 유지하며 추이 지켜 보는 것이 바람직
연내 인하 쉽지 않다는 해석에 금리는 상승
다만 이 날은 3년물 580억달러 국채 발행이 더 영향준 듯
향 후 연준의 금리 인하가 쉽지 않다는 의견도 이어짐
BoA. 완전 고용 수준의 지표 감안시 추가 인하 어려워
RSM. 보호 무역으로 불확실성 높고 기대인플레 부담 커
애플 AI폰 기대에 2% 이상 오르며 지수 방어 역할
알리바바와 제휴해 중국서 AI 기능 출시한다는 보도
중국내 판매 부진 이유였던 AI폰 탑재로 판매 증가 기대
테슬라는 오픈AI 인수 시도 보도에 약세
인수 자금 확보 위해 지분 매각 가능성, 사업 집중 약화 우려
아거스. 엔비디아 경쟁력 쉽게 흔들리지 않을 것
데이터센터 외 게임, 자율 주행 등 우위. 목표가 175달러
한편 메가7 주식에 대해 신중해야 한다는 주장도
자본 지출, 가격 부담. 투자자들 매수할만큼 했다는 점 등
관세 뉴스에 이번주 물가 지표 앞두고 있어 신중했던 하루
https://n.news.naver.com/article/018/0005941558?sid=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