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14일 장전 시황
https://n.news.naver.com/article/003/0013118881?sid=104
트럼프의 추가 관세 압박, 셧다운 부각되며 하락.
트럼프, 유럽산 주류에 200% 관세 부과하겠다고 경고
미국산 위스키 관세에 대한 맞대응
이번주 내내 캐나다, 중국, EU와 충돌 이어지는 양상
기자들에게 관세 결코 후퇴하지 않을 것이라고 언급
베센트 장관도 최근 증시 변동성 우려하지 않는다고
실물 경제에 집중하고 있으며 장기적으로 좋은 것이라고
여기에 셧다운 우려까지 더해지며 경계감 상승
야당측은 공화당 중심 하원의 임시 예산안 거부
필리버스터 없이 처리 위해서는 60표 필요
공화당 내부 반대도 있어 민주당 8명이 돌아야
관세 등 변수에 추가 악재가 될 수 있을지 우려
다만 과거 셧다운시 증시 흐름 나쁘지는 않았음
셧다운 평균 기간 8.2일, 최장은 34일. 최단은 1일
셧다운 기간 중 증시 0.3% 상승. 1년 후 12.7% 상승
공무원들 급여도 이 후 소급해 모두 지급하게 되어 있음
다만 관세 악재가 겹쳐 투자자들 부담은 커진
이 날 나온 경제 지표는 양호
2월 생산자물가 3.2%. 전월은 0%. 예상 3.3%, 0.3% 하회
근원은 3.4%, -0.1%로 예상 3.6%, 0.3% 하회
예상 하회 불구 PCE 적용되는 일부 항목 상승은 경계
입원 진료비 1%, 포트 관리비 0.5% 올라 PCE 높인다는 분석
주간 신규실업수당은 22만으로 예상 22.5만 하회
강세론자 야데니. S&P500 목표 7,000 → 6,400p. 최악 5,800p
관세 문제, 연방 정부 인력 축소 등에 흔들려
JP모건, 최근 증시에 자금 유입. 최악 조정은 끝난 듯
일부 펀드들의 리밸런싱 매수 유입으로 오를 수 있다고
구겐하임. 관세 이슈 반전 이어져 증시 갇힐수 밖에
파이퍼샌들러. 정책 불확실성 해소 전 증시 회복 어려워
골드만삭스. 관세 5%p당 주당순이익 1~2% 감소
유효 관세율 15% 오르면 추가 2% 악화
라운드힐 인베스트. 지금 매수는 공연자 모르고 구하는 티켓
바클레이즈. 6, 9월 금리인하 전망. 관세, 고용 악화가 이유
블룸버그. 애플 안전한 투자처로 매력 잃어
늦어지는 AI 모멘텀. 중국 노출도 높은 특성 부담
달러 제너럴, 달러 트리 등 할인점 주가는 강세
인텔, CEO 임명 소식에 급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