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314 마감시황
KOSPI 2,574.82(+1.47%), KOSDAQ 729.49(+1.11%)
> 작일 미국 증시는 러-우 전쟁 종전 가능성과 미국 구인건수 증가에도 미국과 캐나다의 관세 갈등이 심해지며 하락 마감. 다만 장 마감 이후 미국과 캐나다의 관세 갈등은 일단락. 또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주 경기 침체 가능성을 시사했던 것과는 다르게 호황세를 보일 것으로 생각한다고 발언하며 투자심리 일부 회복
미국 셧다운 우려 완화에 상승 종목수 증가 코스피 지수는 하락했지만 상승 종목수가 더 많았음 미 증시는 트럼프 관세 발언 + 셧다운 우려에 약세 트럼프, 유럽산 와인 등에 200% 관세 부과 경고 연일 관세 경고 나오며 투자심리 위축 예산안 기한 앞두고 셧다운 우려 불거진 점도
마감 후 척 슈머 민주당 원내 대표 공화당안 수용 언급 셧다운 막기 위해 6개월 임시 예산안 수용하겠다고 민주당 내부 반대 있으나 필요한 8표 이상 확보 가능 우려했던 셧다운 가능성 낮아졌다는 점에 안도
미 증시가 과도한 하락을 보였다는 점도 부각 므누신 전 장관 등 단기 과도한 낙폭 지적 블룸버그. -10% 하락으로 오히려 가격 매력 주목 그리고 중국 증시가 소비 부양 기대로 오른 점도 아시아 증시에 대한 관심도 높일수 있는 재료
코스피는 삼성SDI 증자에 이차전지주 밀리며 지수 부담 슈퍼 사이클 대비라 하나 투자자들은 증자 자체 부정적 LG에너지, LG화학, 삼성SDI, SK이노베 등이 지수 발목 자동차, 일부 철강, 금융주 등도 약세 제약 바이오, SK하이닉스 등 오르며 방어 코스닥은 제약, 반도체, 로봇 오르며 지수 견인 이번주 중반 이 후 상승 시도 자주 나오고 있음 과매도권 부근 진입하며 종목별 반응 나온 것
관세 재료는 4월 초까지는 산발적 재료 상호 관세 확인될 때까지는 반등, 경계 흐름 반복 이 보다 다음주로 예상되는 정치 일정이 가장 큰 변수 결과적으로 불확실성 정점 넘기는 계기가 될 전망 이제는 지수 보다 종목별 변화에 집중해야 시기적으로 실적 이슈도 정점 통과하는 중 4분기 실적, 이어 1분기 실적도 어느 정도 윤곽 실적 기대감 높거나 과하게 빠진 저평가주 증시 변동성에 가격 매력도 높아진 종목들 늘어남 코스닥은 과매도권 부근에 머물러 있음 기관 매수가 올해 제법 누적되어 있는 종목 포트 재편 과정에서 기관 매물 거의 빠진 종목들 주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