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박정식의 국내 주식시황] 한-미 정상회담 및 Fed 9월 금리인하 경계감 등으로 보합 및 혼조 가능성
작성자 : 박정식작성일 : 2025-08-26조회수 : 1,641
[2025년 8월 26일 장전 국내시황]
파월 의장은 지난 22일 잭슨홀 심포지엄에서 "실업률과 기타 노동시장 지표의 안정성을 고려하면 정책 기조 변경을 신중히 검토할 수 있다"면서도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책이 제약적 영역에 있는 상황에서 기본 전망과 위험 균형의 변화는 정책 기조 조정을 정당화할 수도 있다"고 언급했다. 이는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기준금리가 인하될 가능성을 시사한 것이다. 특히, 파월 의장이 인플레이션 고조에 대한 우려도 함께 언급했지만, 시장은 고용 하방 위험에 더 비중을 두며 비둘기파적 입장을 내비쳤다고 해석했다.
하지만 시장에서는 파월 의장 발언이 전적으로 비둘기파적이지는 않으며, 9월 회의 전까지 나오는 경제지표가 더 중요해졌다는 인식 속에 경계감이 커졌다. 엔비디아 실적 및 7월 PCE 물가지수 발표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데, 엔비디아는 오는 27일 2분기 실적을 발표할 예정이며, 29일에는 Fed가 선호하는 물가지표인 7월 PCE 물가지수가 발표될 예정이다. 특히, 7월 PCE 물가지수가 금리 인하 여건을 조성하는 데 우호적이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전일 국내증시는파월 의장 비둘기파적 발언에 따른 기관 외국인 동반 순매수에 KOSPI 3,209.86(+1.30%), KOSDAQ 798.02(+1.98%)으로 반등을 이어갔으나 Fed 금리인하 경계감이 커지며 금일 국내증시는 보합 및 혼조 국면을 보일 것으로 보인다.
코스피 투자주체 일자별추이 대금 [출처 신한아이HTS]
코스피 투자주체 수급을 보면 외국인이 다시 2일 연속 순매수를 보여주고 있고 기관이 7일 연속 순매수를 보여주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증시 빠르게 반등을 하고 있는 상황이지만 한-미 정상회담과 Fed의 금리인하 여부에 따라 향후 수급의 흐름이 결정 될 것으로 보인다.
코스피 코스닥 일봉차트 [출처 신한아이HTS] 왼쪽 코스피 / 오른쪽 코스닥
기술적으로는 코스피 3163선을 재돌파하며 추가 상승 기조를 키워 나가고 있고 코스닥도 793선을 돌파하며 추가 상승 가능성을 키우고 있다. 앞으로 흐름에서도 재이탈 시키지 않고 잘 지지 해준다면 추가 상승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하면 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Fed의 9월 금리인하 경계감이 다시 나오고 있고 한-미 정상회담이 어떻게 진행될지 모르는 상황이라 오늘 국내증시는 눈치보는 장세가 될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일부 상승 테마를 제외한 대다수 종목들이 부진한 흐름을 보일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전일 강한 지수 상승력과 많은 상승 테마들이 나왔기 때문에 잘 참고하여 매수의 기회로 삼으면 좋아 보인다. 전일 상승 이슈는 아래와 같다.
▷정부 정책 기대감 지속, 노란봉투법 수혜 기대감 및 엔비디아 로봇 신경망 발표 예정 소식 등에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스마트팩토리(스마트공장) 테마 상승.
▷금리인하 기대감 속 美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2.70%) 급등 영향 및 美 엔비디아 실적 기대감 등에 반도체 대표주(생산), 반도체 장비, HBM(고대역폭메모리) 테마 등 반도체 관련주 상승.
▷美 금리 인하 기대감, 이더리움 사상 첫 4,900달러선 돌파 소식 등에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두나무(Dunamu) 테마 상승.
▷마운자로 품절 소식 및 위고비 처방 증가 등에 비만치료제 테마 상승.
▷폴더블 아이폰 공급망 진입 막바지 선정 소식 등에 아이폰/ 폴더블폰 등 테마 상승.
▷한미 정상회담서 원자력협정 개정 추진 기대감 등에 원자력발전 테마 상승.
▷2차 상법 개정안 국회 본회의 통과 소식 등에 지주사/ 증권 테마 상승.
▷구조조정에 따른 공급 우려 일단락 분석 등에 석유화학 테마 상승.
▷美, 전력기기 추가 관세 부과에도 가격 전가를 통한 중장기 이익 증대 기대감 등에 전선/ 전력설비 테마 상승.
▷美 9월 금리 인하에 따른 수혜 기대감 등에 제약업체, 바이오시밀러(복제 바이오의약품), 치매 테마 등 제약/바이오 관련주 상승.
▷핵융합 상용화 돌파구 핵심 기술 성과 공개 소식 등에 핵융합에너지 테마 상승.
▷갤럭시 美 인기 소식 등에 갤럭시 부품주 테마 상승.
▷K-뷰티, 뷰티테크 고성장 기대감 등에 화장품 테마 상승
8/25(월) 장 마감 후 시간외 거래에서는 파월 Fed 의장 비둘기파 발언, 美 9월 금리 인하 기대감 등에 JW신약, 나노엔텍, 피플바이오 등 일부 제약/바이오 관련주 상승했다. 마운자로 품절 소식 및 위고비 처방 증가 등에 비만치료제 테마 상승 속 정규장 10.49% 급등했던 샤페론은 시간외에서도 강세를 보였다. 거래량 상위 종목으로는 보성파워텍, 헝셩그룹, 우리기술, 이스트아시아홀딩스, 아이비젼웍스 등이 있다.
8/25(월) 대체거래소(NXT) 애프터마켓에서는 모티브링크, 메타바이오메드, 파크시스템스, 코미코 등 일부 개별주들이 상승력을 보였다. 카타르 GTC/1217A/2024 프로젝트 낙찰 통지서 접수 공시에 대한전선이 상승했다. 美 9월 금리 인하 기대감에 신풍제약 등 일부 제약 바이오 테마가 상승했다. 노란봉투법 수혜 기대감 및 엔비디아 로봇 신경망 발표 예정 소식에 하이젠알앤엠 등 일부 로봇 테마가 상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