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박정식의 국내 주식시황] 트럼프 관세 압박 우려 재부각에 일부 약세 흐름 가능성
작성자 : 박정식작성일 : 2025-07-14조회수 : 821
[2025년 7월 14일 장전 국내시황]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브라질 관세 50% 통보에 이어 캐나다에 35%, EU와 맥시코에도 30% 관세를 다음달 1일부터 부과하겠다고 발표했다. 나머지 국가에도 20% 안팎의 관세를 부과하기로 등 전방위적 관세 위협을 진행하는 모습이라 인플레이션 및 경기침체 우려가 커지고 있다.
전 영업일(7/11) 국내증시는 트럼프 대통령의 전방위적 관세 압박이 선반영되며 장중 상승폭을 축소 시켰고 KOSPI 3,175.77(-0.23%), KOSDAQ 800.47(+0.35%)으로 혼조 마감했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압박은 더 거세질 여력이 있기 때면에 관세로 인한 인플레이션 및 경기침체 우려는 오늘도 지속 될 것으로 보인다.
코스피 투자주체 일자별추이 대금 [출처 신한아이HTS]
코스피 투자주체 수급을 보면 아직까지 외국인이 순매수 기조를 보이고 있지만 트럼프 관세 통보에 따른 우려가 지속될 경우 외인, 기관 동반 순매도로 인한 단기 증시 조정도 염두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코스피 코스닥 일봉차트 [출처 신한아이HTS] 왼쪽 코스피 / 오른쪽 코스닥
기술적으로도 코스피는 3180선을 넘어서지 못하며 윗꼬리를 만든 모습이고 코스닥도 전고점 803선을 넘어서지 못하며 윗꼬리를 만든 상황이다. 이러한 차익 매물로 인해 오늘도 일부 조정 및 지지 부진한 흐름을 이어갈 수 있다.
대체적으로 시장이 약보합 및 소폭 약세 등 애매한 국면을 만들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일부 이슈에 따른 개별주들이 강세를 보일 것으로 보인다. 전 영업일 상승 이슈는 아래와 같다.
▷탈 플라스틱 정책 기대감 지속, RE100 산단 조성 추진 소식 등에 탈 플라스틱(친환경/생분해성 등) 테마 상승.
▷2분기 실적 컨센서스 상회 전망 등에 증권 테마 상승.
▷美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0.75%) 상승 영향 및 대만 TSMC, 2분기 역대 최대 분기 매출 달성 등에 반도체 대표주(생산), 반도체 재료/부품/장비, 시스템반도체, HBM(고대역폭메모리) 등 반도체 관련 테마 상승.
▷신정부 정책 수혜 기대감 지속 등에 손해보험 테마 상승.
▷비트코인 사상 최초로 11만7,000달러 돌파 소식에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두나무(Dunamu) 테마 상승.
▷美 전기차업체 테슬라(+4.73%) 주가 강세 영향 등에 2차전지/전기차/리튬 등 테마 상승.
▷李 정부, 아동·저출생 정책 강화 예정 소식 속 일부 출산장려정책/ 엔젤산업 테마 상승.
▷美 엠피 머티리얼즈(MP)가 美 국방부의 4억 달러 규모 우선주 매입 소식 등에 지난밤 50% 넘게 폭등한 가운데, 희귀금속(희토류 등) 테마 상승.
▷현대제철(+5.09%)이 하반기 실적 개선 기대감 등에 상승, 철강 주요종목/ 일부 철강 중소형 테마 상승.
7/11(금) 장 마감 후 시간외 거래에서는 퀀타매트릭스가 2025년 바이오산업기술개발(R&D) 사업 최종 선정 소식 등에 상한가. 지니틱스는 최대주주 "주총 지연 직무유기... 경영권 유지 위한 꼼수" 기사 등에 상승했다. 텔콘RF제약은 자동갱신으로 인한 pharmaceutical grade L-glutamine (PGLG) 공급계약 체결 정정공시 속 상승했다. 거래량 상위 종목으로는 이스트아시아홀딩스, 동양철관, SGA, 형지글로벌, 싸이닉솔루션 등이 있다.
7/11(금) 대체거래소(NXT) 애프터마켓에서는 케어젠, 제닉 등 일부 화장품 테마가 강세를 보였고 제일파마홀딩스 그룹주가 상승이 나오면서 온코닉테라뮤틱스, 제일약품 등이 강세를 보였다. 예금보험공사가 서울보증보험의 지분 매각한다는 소식에 서울보증보험이 상승세를 이어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