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박정식의 국내 주식시황] 美 상호관세 리스크 약화 속.. 美 소비지표 강세로 국내증시 상승 기조 지속 될 모습
작성자 : 박정식작성일 : 2025-07-18조회수 : 598
[2025년 7월 18일 장전 국내시황]
관세 불확실성 지속에도 미국 소비지표가 강하게 반등하며 시장 예상치를 상회했고 소비 지표 강세에 따라 美 기업 실적이 긍정적으로 나올 수 있다는 기대감이 증시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때마침 유나이티드항공, 펩시코 등이 시장 예상치를 상회하는 실적을 발표하며 시장에 긍정적으로 작용됬다.
전일(7/17) 국내증시는 이재용 회장의 사법 리스크 해소로 삼성전자가 강세를 보였고 그로 인해 외국인, 기관 순매수가 유입되며 KOSPI 3,192.29(+0.19%), KOSDAQ 818.27(+0.74%)으로 상승 마감했다. 아직까지는 증시의 상승 기조가 꺽이지 않는 모습이기 때문에 조금더 긍저적으로 대응을 해도 될 것으로 보인다.
코스피 투자주체 일자별추이 대금 [출처 신한아이HTS]
코스피 투자주체 수급을보면 외국인의 순매수 기조 속에 간만에 기관까지 순매수에 동참하면서 증시 상승을 이끈 모습이다. 이전에도 언급했지만 기관까지 매수에 가담 할 경우 증시 상승이 탈력적으로 더 나올수 있는 여지가 있다고 했기 때문에 향후 증시 흐름도 긍정적으로 기대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코스피 코스닥 일봉차트 [출처 신한아이HTS] 왼쪽 코스피 / 오른쪽 코스닥
기술적으로 보더라도 코스피 꺽일 것 같다가도 상승 기조를 크게 무너트리지 않는 모습을 유지하고 있고 코스닥도 추가 상승 가능성을 알리는 돌파 시세가 나오고 있기 때문에 증시 상승 추이를 더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증시 상승 기조가 더 유지 되는 것은 이재명 정부의 증시 호재성 법안 처리도 있지만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압박이 생각보다 강하지 않기 때문이다. 최근 엔비디아가 중국에 H20 칩 판매를 허용한 점은 트럼프 행정부가 대중 태도에서 가장 큰 변화가 나타났다 인식되고 있고 블룸버그에 따르면 "중국과의 긴장 완화를 위해 미국 관리들은 90일 휴전 만료 후 미국의 대중 관세가 145%로 다시 인상될 예정인 8월 12일 시한을 연기할 준비를 하고 있다"고 전했다. 한 관계자는 블룸버그에 “관세 휴전이 3개월 더 연장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 뿐만 아니라 다른 나라와의 관세 조치를 보더라도 부과했다 취소하고 연장하는 것을 번복하고 있다.
이에 따라 상호관세에 따른 증시 하락 리스크는 아직까지는 크지 않기 때문에 추후 강한 리스크가 나오기 전가지는 증시 상승 기조가 이어질 것으로 보여지고 그에 따른 상승 이슈도 많이 나올 것으로 보인다. 전일 상승 이슈는 아래와 같다.
▷하반기 우호적인 글로벌 환경 조성 기대감 등에 비만치료제, 치매, 면역항암제, 제대혈, 바이오시밀러, 제약업체, 탈모 치료, 유전자 치료제/분석, 코로나19, 마이코플라스마 폐렴, mRNA, 줄기세포 등 제약/바이오 테마 상승.
▷수익성 개선 기대감 등에 조선/ 조선기자재 테마 상승.
▷한중 관계 개선 기대감 및 K-뷰티 글로벌 인기 지속 등에 화장품, 미용기기, 의료기기 등 테마 상승. 일부 면세점, 일부 카지노 테마 등도 상승.
▷내년 애플 폴더블폰 출시 기대감 지속 등에 일부 폴더블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아이폰/ 휴대폰부품/ 스마트폰/ OLED 등 테마 상승.
7/17(목) 장 마감 후 시간외 거래에서는 집중호우 지속 속 정부가 풍수해 위기 경보최상위인 심각 단계를 발령한 가운데, 뉴보텍, 자연과환경, 인선이엔티 등 태풍 및 장마, 수자원(양적/질적 개선), 폐기물처리 등 관련주가 상승했다. 중앙첨단소재는 43.25억원 규모 공급계약 체결 공시 속 상승했고, 한일홀딩스가 자회사 한일시멘트, 한일현대시멘트 흡수합병 결정 공시 속 상승했다. 거래량 상위 종목으로는 자연과환경, 이스트아시아홀딩스, 대성파인텍, 동방, 현대약품 등이 있다.
7/17(목) 대체거래소(NXT) 애프터마켓에서는 집중호우 지속 속 정부, 풍수해 위기경보 심각 발령 등에 한국주철관, 남해화학 등이 상승이 나왔고 한일시멘트와 현대한일시멘트의 합병 소식이 전해지며 한일시멘트가 상승이 나왔다. 이 외로는 일부 제약/바이오 관련종목들이 상승이 나왔다. 개별적으로는 제일일렉트릭은 전력기자재 종목중 저평가로 인식이 되며 상승이 나왔고 솔브레인홀딩스는 삼성전자 강세에 따라 동반 상승이 나온 모습이다.